심장은 하루도 쉬지 않고 우리 몸에 혈액을 공급하는 펌프 역할을 합니다. 이 심장에 문제가 생겨 혈액을 제대로 내보내지 못하면 '심부전'이라는 질환이 발생합니다.
심부전, 어떤 질환인가요?
심장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혈액을 전신과 폐로 보내고 다시 받아들입니다. 이 과정에서 이상이 생기면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게 됩니다.
심부전은 좌심실 혹은 우심실에 따라 다음과 같은 증상을 유발합니다.
- 좌심실 기능 저하: 폐에 물이 차며 호흡곤란 발생
- 우심실 기능 저하: 다리 부종, 복수, 흉수로 인한 호흡곤란
심부전의 주요 원인
- 관상동맥질환: 심장 혈관이 막히며 심장 기능 저하
- 고혈압: 지속적 부담으로 심장 비대, 심부전 유발
- 심방세동: 불규칙한 심박으로 심장 펌프기능 저하
- 심근병증: 심장 근육 자체의 질환
- 기타 질환: 빈혈, 갑상선 질환, 콩팥 질환 등
심부전의 주요 증상
- 호흡곤란 (특히 누웠을 때)
- 발목, 다리 부종
- 만성 피로 및 무기력
- 복부 팽만, 소화불량, 체중 증가
진단 방법
- 문진 및 신체검사: 병력 청취, 심음·호흡음 청진
- 혈액검사: 빈혈, 갑상선, 신장 기능 확인
- 흉부 X선: 심장 크기, 폐 상태 확인
- 심전도(ECG): 부정맥 및 심장 손상 확인
- 심장 초음파: 심부전 진단의 핵심 검사
- 운동부하 검사, 핵의학 검사, CT 및 관상동맥 조영술
심부전의 치료 방법
1. 약물 치료
- 이뇨제, 강심제, 혈관 확장제
- 생존율 향상 약물: ACEi, ARB, 베타차단제
2. 비약물 및 시술 치료
- 관상동맥 스텐트, 우회술
- 판막수술, 심장충격기, 재동기화 치료, 심장이식 등
3. 생활습관 개선
- 염분, 수분 섭취 제한
- 체중 조절, 규칙적인 운동
- 식사량 조절, 고지방 식품 피하기
- 금연, 금주
비급여 검사 항목
항목 코드 | 내용 |
---|---|
EZ8680000 | 동맥경화도검사(맥파전달속도 측정) |
EZ8710000 | 관상동맥내 광학파 단층촬영 |
EZ8740000 | 미세전위 T 교대파 검사 |
290700000 | 한방 혈맥어혈검사 |
BJ4510DT | 광학파 단층촬영용-BENETIS |
BJ4513LR | 광학파 단층촬영용-DRAGONFLY CATHETER |
BJ4514LR | 광학파 단층촬영용-DRAGONFLY OPSTAR |
심부전은 단순한 피로감이 아닌 심장 기능 저하라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입니다. 조기 진단과 꾸준한 치료, 올바른 생활습관만 유지한다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. 이상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정확한 검진을 받으시길 바랍니다.